건강정보

폐기능 검사 해석법 – 폐활량부터 FEV1까지 쉽게 이해하기

bjjbkk 2025. 4. 3. 03:39
반응형

폐기능 검사 해석법 – 폐활량부터 FEV1까지 쉽게 이해하기

폐기능 검사는 폐가 얼마나 잘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쉴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로, 천식, 만성폐쇄성폐질환(COPD), 폐 섬유화증 등 호흡기 질환 진단에 사용됩니다. 다양한 지표가 등장하기 때문에 처음 검사를 받는 분들에게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폐기능 검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수치와 해석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.


1. 폐기능 검사란?

  • 스파이로메트리(폐활량 측정기)를 통해 호흡량과 공기의 흐름을 측정
  • 폐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폐질환의 유무와 진행 정도 확인 가능

2. 주요 폐기능 수치와 의미

✅ FVC (강제 폐활량)

  • 숨을 최대한 들이쉰 후 강제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총량
  • 정상 수치: 예측치 대비 80% 이상

✅ FEV1 (1초간 노력성 호기량)

  • 공기를 내쉴 때 1초 동안 내뿜는 공기의 양
  • 폐의 기도 저항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
  • 정상 수치: 예측치 대비 80% 이상

✅ FEV1/FVC 비율

  • 폐쇄성 폐질환(COPD 등) 판별 기준으로 활용
  • 70% 미만일 경우 폐쇄성 장애 의심

✅ PEF (최대 호기 유속)

  • 숨을 내쉴 때 순간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
  • 천식 모니터링에 유용

3. 폐기능 장애 유형 구분

유형 특징 예시 질환
폐쇄성 장애 기도가 좁아져 공기 흐름 감소 COPD, 천식
제한성 장애 폐가 확장되지 않아 공기량 자체 감소 폐 섬유화증, 폐결핵 후유증
혼합형 장애 폐쇄성과 제한성 특징이 모두 있음 진행성 폐질환

4. 검사 시 주의사항

  • 검사 전 커피, 담배, 운동 자제 (기관지 반응성 변화 방지)
  • 안정된 호흡 상태에서 검사 진행
  • 약물 복용 중일 경우 의료진에게 미리 알릴 것

결론: 폐기능 수치를 알면 호흡 건강이 보입니다

폐기능 검사는 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호흡기의 건강 상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 본인의 폐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, 수치 변화를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호흡곤란, 만성기침이 있다면 폐기능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

※ 이 글은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참고용 자료이며, 검사 결과 해석은 반드시 의료진의 상담을 통해 정확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